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수도권이북] 그린리모델링 수도권거점 플랫폼 중앙대학교 센터 인터뷰
    네모네모 2022. 12. 9. 13:46

    그린리모델링 지역거점 플랫폼은 그린리모델링 사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국토교통부가 구축한 지역별 컨소시엄으로 수도권 이북과 이남, 전라권, 경상권, 강원권, 충청권 총 6개로 구분됩니다. 중앙대학교를 중심으로 구성된 그린리모델링 수도권(한강 이북) 거점 플랫폼의 송용우 연구원님을 인터뷰하여, 그린리모델링 지역거점 플랫폼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어보았습니다.

     

    Q. 안녕하세요.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린리모델링 수도권 거점 플랫폼 중앙대학교 센터가 어떤 곳인지 간단하게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그린리모델링 수도권 거점 플랫폼 중앙대학교 센터에서 업무총괄계획 및 관리를 맡고 있는 송용우 박사 후 연구원입니다. 저희 플랫폼에서는 한강을 기준으로 수도권 북부의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중앙대학교를 중심으로 해서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숭실대학교 이렇게 4개의 대학과 대한건축사협회, 대한기계설비산업연구원, 건축물에너지평가사협회와 같은 3개의 연구원 및 협회, ㈜세익컨설턴트, ㈜디디알플러스, 지속가능건축연구원, 에녹엔지니어링 4개의 기관이 협력해서 학문적, 실무적, 지역적, 사업별 특성 등을 고려해서 총 11개의 학·연·산 기관으로 구성되었으며 최적의 그린리모델링 사업을 구축하고 활성화하고자 활동 중입니다.

     

    Q. 현재 중앙대학교 플랫폼에서는 그린리모델링과 관련하여 어떤 업무들을 하고 계신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중앙대학교 플랫폼에서 그린리모델링 플랫폼을 구축하여 다양한 업무를 수행 중에 있습니다. 대표적인 업무 몇 가지를 소개드립니다.

     가장 우선적인 업무는 그린리모델링 공사가 완료된 건물의 에너지 성능 분석입니다. 현재 2021년에 진행한 어린이집 및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에 대한 성과 확인과 2022년에 새로 진행한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학교수, 건축사, 건축물에너지평가사 등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사업기술지원단을 구축하여 중앙대학교 플랫폼 해당 지역 그린리모델링 대상건물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기술 자문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대학(원)생, 지자체 공무원, 건축물에너지평가사 등 관련 학생과 실무진을 대상으로 그린리모델링의 효과 안내와 활성화를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정규 수업 중 에너지 성능 분석 프로그램의 안내, 그린리모델링 기술 요소의 이론적 효과, 그린리모델링 대상의 건물에너지 분석에서의 주의 및 고려사항 등에 관란 교육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추가적인 업무로 전 국민을 대상으로한 그린리모델링 챌린지(경진대회)를 진행하였으며, 어린이집, 보건소, 요양병원과 더불어 향후 그린리모델링이 필요한 건물군을 선정하여 기대효과를 예상하는 업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Q. 그린리모델링 사업 활성화를 위한 중앙대학교 컨소시엄만의 방법이 있을까요?

     앞서 말씀드린 주요 업무 중 그린리모델링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 중 대국민 홍보 차원의 방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린리모델링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홍보’를 통해서 그린리모델링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그린리모델링 사업에 대한 관심을 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중앙대 플랫폼에서는 작년부터 ‘그린리모델링 챌린지’를 개최하였고, 올해 제 2회 그린리모델링 챌린지를 통해 전국의 유치원, 초중고 및 대학(원)생 그리고 관련 사업체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린리모델링에 대한 공감대를 조성하고 그린리모델링에 대해 알리고자 노력하였습니다.

     특히, 그린리모델링 챌린지를 통해 그린리모델링이라는 용어 조차 익숙하지 않은 유치원, 초등학생에게는 그린리모델링의 기대효과와 이를 통한 생활환경 개선을 조기에 교육 및 알릴 수 있으며, 건축 분야의 학문을 공부하는 대학(원)생의 경우 이론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적용하여 효과를 예측, 개성적인 적용방안 도출을 통해 전문가로서 성장을 독려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Q. 중앙대학교 플랫폼에서 공공도서관 그린리모델링 사업에 관하여 추진 준비 중이라고 들었는데 사업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공공도서관의 경우, 취약계층이 이용하는 시설이기 보단 영유아부터 어른까지 모든 가족이 함께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며, 에너지를 다소비하는 건물 중 하나입니다.

     해당 공공도서관을 그린리모델링 실시할 경우 기존 취약계층이 이용하는 건물에서 얻을 수 있는효과와는 차별적으로 가족 단위의 인식 확대가 가능할 것이며, 나아가 지역 사회 주민의 인식 변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수도권 내에 있는 공공도서관들의 준공년도와 그린리모델링 조건 충족 여부 등을 확인하고 그린리모델링 사업에 대하여 알리고 관련하여 사업 진행 의향이 있는지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어느 정도 현황 파악이 되고 검토를 마친다면 내년쯤에는 공공도서관 그린리모델링 사업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Q. 앞으로 건설업에 있어서 탄소중립과 그린리모델링을 위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건설 산업은 국가 온실가스 배출을 산업 분야로 분류하였을 경우 항상 최상단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2050탄소 중립을 위해선 건설 산업에서 탄소 중립은 국가 전체의 가장 중요한 숙제라고 생각합니다.

     신축되는 건물의 경우 점차 제로에너지 의무화를 통해 탄소 중립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신축 건물의 숫자는 국가 전체 건물 숫자에 0.1% 수준으로만 존재합니다. 99%를 차지하고 있는 기존 기축 건물의 에너지 절감을 통한 탄소 배출량 감축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업무로 그린리모델링은 필수불가결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그린리모델링 플랫폼 등을 통해 공공건축물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습니다만, 향후 공공건축물의 효과를 바탕으로 민간 기축 건물을 대상으로한 그린리모델링의 확대가 빠른 시일내에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현재 이자지원사업 등의 지원제도가 존재하고 있습니다만, 실제로 민간 영역에서 체감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사료됩니다. 이와 더불어 현재 전국에 선정되어 있는 그린리모델링 플랫폼을 각 지역에 존재하는 그린리모델링 사업관련자, 지자체 공무원, 지역주민, 학생 들을 위한 종합 교육 및 지원 센터화시켜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도 함께 모색되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인터뷰에 정성껏 답변해주신 송용우 연구원님께 감사드리며, 인터뷰 기사를 마칩니다.

     

    그린리모델링 수도권 거점 플랫폼 중앙대학교 센터 홈페이지 :

    http://greenremodeling-cau.csbr.re.kr/

    인스타그램: @gr_article

    티스토리: https://uyoun.tistory.com/

    블로그: https://blog.naver.com/whdmek26

    그린리모델링 홍보방: https://www.greenremodeling.or.kr/report/boardList.asp?bid=report

Designed by Tistory.